나의 시 평론

꿈의 퍼즐/홍명근

홍영수 시인(jisrak) 2023. 2. 3. 21:11
반응형

살다 보니

열망과 갈등의 순간 위에 오래 머물고

머물러보니

기다림은 시곗바늘을 흔든다.

 

초침 따라 달려가던 시절에는

별 하나 꽃 한 송이조차 두근거렸다

 

이제는

꽃이 피어도 별이 반짝여도

설레임 희미하지만

 

걸어온 길과 걸어갈 길이

겹쳐 만난 인연은

실타래처럼 길다.

 

실매듭을 풀어

나무가 기둥처럼 자라는

언덕에 둥지를 틀고

학이 되어 바라보는 길 끝에

담쟁이 넝쿨 한 겹 더 두른 너는

또 하나의 울타리.

 

살아가는 것이 순간이 쌓여 가는 머무름이고

머무름이 깊어져 가면 길이 되는 것일까

 

별 모양의 담쟁이 잎 넝쿨 너머 꽃 같은 저 무지개는

열정을 향해 여전히 손짓하고 있다.

 

 

시집 『꿈의 퍼즐』,  미디어 저널,  2019.

 

 

그렇다. 느리게 움직이는 시침, 분침보다는 1초라는 짧은 순간을 소리 내며 똑딱이는 모습은 인간의 활동상으로 비유한다면 초침은 분명코 역동적 젊은 시절에 해당할 것이다. 천둥벌거숭이 시절을 거쳐 청소년기엔 내가 최고이고 모든 걸 다 할 수 있을 것 같은 시절. 한편으로는 달과 별의 반짝임과 이름 모를 들꽃의 하늘거린 모습에서 괜스레 가슴 설레고 뭉클해지는 그래서 시절의 짐을 벗지 못한 가련한 시인이 되는 시절이 있다. 그런데 어찌하랴! 젊은 날의 초침은 더욱 빨리 돌아가고 보이지 않았던 시, 분침의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한다. 슬픔의 중량이 늘어난 것이다. 슈베르트의 가곡 <물 위에서 노래함>의 가사처럼 , 이슬 젖은 날개를 가진 세월은 스쳐가네 이 흔들리는 물 위의 나에게서그렇지만 세월을 털어버릴 수는 없잖은가. 때론 서녘 노을 같은 중년이 아름답지 않은가.

 

사람은 때가 되어야 보이는 것이 있다. 그 어떤 배움과 지식을 떠나 그 나이가 되어야만 보이는 것들, 젊어서 놓친 것들이 나이 들면서 보이는 것이 있다. 이때 보이는 것은 예전에 보였던 것과는 사뭇 다르게 느껴진다. 왜냐면 사고와 의식이 확장되지 못하고, 아직은 성숙하지 못한 지성과 판단력을 가진 젊은 시절은 아무래도 자기중심적일 수밖에 없었기에.

 

조선시대 문장가인 유한준(兪漢雋)의 말을 빌리면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知則爲眞愛 愛則爲眞看 看則畜之而非徒畜也 :알면 참으로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면 참이 보이나니 보인다고 다 모으면, 그것은 모으는 것이 아니리(원래의 뜻 ).” 여기에사랑대신살다를 대입시켜도 무방하리라.

 

이때 보이는 것처럼 화자는 지나온 날과 앞으로의 길을 떠올리며 실타래처럼 얽힌 인연을 생각하게 된다. 그 무엇도 독립적이고 스스로 홀로 발생하는 것이 없음을 깨달은 것이다.

 

시인은 인연의 실타래를 풀어 학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은 생물학적인 새가 아닌 인문학적인 표현이다. 수많은 한시에 등장하는 학, 고고한 모습을 선비적 특성으로 묘사되어서일까. 시인이 학의 눈으로 먼 곳을 바라본다는 것은 살아온 과정에서 혜안을 갖추게 되었음을 뜻하고 한편으로는 의 시선을 가졌다는 것은 지혜가 생겼다는 의미가 아닐까 한다. 이렇게 초탈한 시선으로 삶을 관조할 수 있다는 것, 시인은 무념무상으로 세상과 사물을 물끄러미 바라본다는 것이다.

 

도연명의 <飮酒>5수에 동쪽 울 아래서 국화를 따다가 멀리 남산을 보다(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와 고산 윤선도의 <漫興>이라는 시를 보자

 

술잔 들고 혼자 앉아 먼 산을 바라보니

그리워하던 님이 온다 한들 이렇게까지 반가우랴

말도 없고 웃음도 없어도 못내 좋아하노라

이처럼 두 시인의 시에서 볼 수 있듯이 물끄러미 바라본다는 것은 어떤 목적과 의지를 가지고 바라본 게 아니다. 자신의 존재마저 잊고 비우는 것이고, 보려고, 찾으려고 한 것이 아니라 우연히 고개 들어 먼 곳(남산)을 바라볼 때, 그때 시야에 들어온 광경이다. 이러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시인의 눈앞에 남산처럼 우연히 보이는 넝쿨 두른 담쟁이, 이렇게 자신을 잊고 비우며 물끄러미 바라봐야만 고산의 詩題처럼(漫興) 저절로 흥취가 생겨난 것이다.

 

화자의 이러한 의식의 변화는 종교적 체험과도 연관된 듯싶다. 종교적 삶의 기본태도는 자기를 비우는 것이고, 잊는 것이고, 부정하는 것이다. 흔히 말한 죄를 뉘우치는 회개가 아니라 회심이다. 즉 메타노이아이다. 자기중심적인 것에서 근원적인 것으로 돌아서는 것, 가치와 의식 구조 자체를 바꾸는 것 그래서 실재를 꿰뚫어 보는 일이다. ‘를 살기 위해 나를 비우는 것이다. 윌리엄 블레이크 말대로 인식의 문(the doors of perception)”을 깨끗이 하는 일이다. 성령님을 갈망하는 자의 영성은 비움이 듯.

 

삶이란 점이 선이 되고 선이 면이 되어가듯 매 순간순간의 축적이다. 그 축적된 삶이 깊어지면 그 자체가 걸어왔던 길의 역사이고 앞으로 걸어가야 할 미래의 길이기도 하다. 세월이 흐르면 신체적 조건들은 변화를 한다. 그러나 마음만은 언제나 청춘이듯 저 너머에 피어오른 무지개는 당신은 아직 젊고 할 일이 많다라며 일곱 색깔의 빛으로 응원하고 있다. 누구든 지금 이 순간이 가장 젊은 때이다.

 

언젠가 인사동 길거리에서 구입해 벽에 걸린 조각보를 쳐다본다. 옛 여인들의 버려진 천 조각 하나하나를 버리지 않고 능숙한 시침질과 감침질로 통짜기하여 완성시킨 작품을 생각하며 내가 꿈꾸는 생의 퍼즐을 맞춰 나만의 쩍말없는 조각보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슈베르트의 가곡 연주를 들으며. , 시간은 이슬의 날개를 달고. . .

 

홍영수

시인. 문학평론가

제7회 보령해변시인학교 금상 수상

제7회 매일신문 시니어 문학상 수상

제3회 코스미안상 대상(칼럼)

제1회 황토현 문학상 수상

제5회 순암 안정복 문학상 수상

제6회 아산문학상 금상 수상

시집 『흔적의 꽃』, 시산맥사, 2017.

이메일 jisrak@hanmail.net

 

 

 

 

꿈의 퍼즐/홍명근

꿈의 퍼즐/홍명근 / 부천시, 경기도 와 국회의 뉴스 그리고 삶을 전하는 지방신문

www.thenewsof.co.kr

 

 

 

 

'나의 시 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소식/김옥동  (1) 2023.02.17
산길을 걷다가/황상희  (0) 2023.02.10
엄마가 치매야/이재학  (0) 2023.01.27
운필運筆/박용섭  (0) 2023.01.17
광고/김원준  (0) 2023.01.10